꽃게는 이름도 꽃처럼 예쁘다. 꽃게를 찌면 껍데기가 꽃처럼 붉게 변하기 때문에, 또는 집게발 껍데기의 무늬가 꽃무늬 같아서 꽃게라는 이름이 생긴 것으로 아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꽃게라는 명칭은 꽃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꽃게의 본래 이름은 ‘곶게’다. 육지에서 바다를 향해 돌출해 나온 부분, 그러니까 장산곶이나 호미곶이라고 할 때의 곶인데 정확하게 말하자면 꼬챙이처럼 튀어나왔다는 뜻이다. 숙종 때 실학자 이익이 성호사설에서 꽃게의 어원을 풀이해 놓았다. “유모((유,추)u)라는 것은 바다에 사는 커다란 게인데 색은 붉고 껍데기에 각이 진 가시가 있다. 세속에서 부르는 이름은 곶해(串蟹), 그러니까 곶게인데 등딱지에 두 개의 꼬챙이(串)처럼 생긴 뿔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보듯 유모는 게 중에서도 바다에 사는 꽃게를 가리키는 한자어로 등딱지에 꼬챙이처럼 두 개의 뿔이 솟아 있어 곶게로 불리다 지금은 꽃게가 됐다. 꽃게로 담근 간장게장은 밥도둑이라고 하지만 그건 민물 게를 잘 먹지 않는 요즘 이야기다. 꽃게의 진짜 맛은 간장게장보다 본디 집게발에 있다고 했다.
꽃게는 다른 게보다 크기가 크고 특히 집게발에 살이 많기 때문에 게살이 일품이다. 다산 정약용은 꽃게를 보고 크기가 항아리 같아서 쪄놓으면 달고 맛이 있는데 특히 엄지발이 유명하다고 했다. 6세기 중국 양나라 때 사람인 도홍경도 집게발에 대해 감탄의 말을 남겼다. “튼튼하고 강하기가 호랑이와 다툴 수 있다”고 했는데 정약용이 꽃게의 엄지발이 유명하다고 한 근거다.
도홍경은 신농본초경집주를 쓴 의사였고 신선이 되기를 추구한 도교의 저명 학자였는데 그가 꽃게의 집게발이 좋다고 쓴 때문인지 사람들은 집게발을 먹으면 튼튼한 기운이 전해져 힘이 솟구치게 된다고 믿었던 모양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옛날부터 게를 좋아했다. 송나라 사신으로 고려를 다녀간 서긍이 고려도경(高麗圖經)에 고려 사람들은 해산물을 좋아해서 신분이 높고 낮음을 떠나 모두 좋아한다고 적었는데 여기에 게도 포함돼 있다. 그중에서 꽃게는 게장도 맛있고 찜도 좋지만 예전에는 꽃게탕을 별미로 꼽았던 것 같다. 조선시대 문헌에는 꽃게 요리 중에서도 특히 꽃게탕이 많이 보인다.
특히 정조 임금이 꽃게탕을 좋아했다. 정조가 홍국영과 함께 총애한 신하가 정민시인데 그 처갓집 꽃게탕이 별미라고 한양에 소문이 자자했다. 어느 날 정민시를 불러 장모께 부탁해 꽃게탕을 끓여 먹자고 청했다. 임금의 요청이라며 사위의 부탁을 받은 장모가 꽃게탕을 끓이는데 이를 본 장인 이창중이 자초지종을 듣더니 “신하가 사사롭게 음식을 만들어 임금께 바치면 안 된다”며 꽃게탕을 땅에 엎어버렸다. 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이유원의 임하필기(林下筆記)에 나오는 이야기로 임금이 먹고 싶다는 꽃게탕을 엎은 이창중도 대단하지만 그런 이창중을 벌주지 않고 중용한 정조도 과연 큰 인물이다.
가을이 오면 많은 이들이 가을은 '꽃게'의 계절이라며 호들갑을 떨 것이다. 가을이 깊어가는 10월 말쯤 살이 토실토실 오른 가을 꽃게가 막 잡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인천 소래포구, 충남 서천 홍원항, 전북 군산포구 등지는 이제 막 갓 잡힌 살이 꽉 들어 찬 꽃게로 문전성시를 이룰 것이다. 가을에는 '암게'보다는 '수게'의 맛이 더욱 좋다고 한다.
꽃게에 대해서는 대체로 삶으면 살과 껍데기가 꽃처럼 붉게 변하여 붙여진 이름이거나 집게발 껍데기의 무늬가 꽃무늬 같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설명하곤 한다. 또 등딱지에 '가시'가 있어서 '가시게'라 하다가 이것이 변하여 '꽃게'가 된 것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그러나 '꽃게의 꽃'은 꽃(花 꽃)의 뜻이 아니고 가시에서 변한 것도 아니어서 이들 설명은 설득력이 별로 없다 하겠다.
꽃게는 17세기 문헌에 곳게로 처음 등장한다. 물론 그 이전 시기에도 '곳게'로 표기하였을 것이다. '곳게'는 본래 '곶게'인데, 당시의 표기법에 따라 '곳게(종성법 규정 7종성법)'로 표기한 것 뿐이다. 곶게의 곶은 꼬챙이의 뜻이다. 꼬챙이를 뜻하는 곶은 현대국어 고깔, 곡괭이, 송곳 등에 그 흔적을 남기고 사라졌다. 또한 곶은 꼬챙이 뿐만 아니라 강, 바다, 평야로 길게 내민 땅을 뜻하기도 했는데, 현대국어 사전은 이를 '바다 쪽으로, 부리 모양으로 뾰족하게 뻗은 육지'로 풀이한다. 장산곶, 호미곶 등에서 보듯, '-곶'은 '바다로 뻗어 나온 모양을 한 곳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도 쓰인다.
곶이 꼬챙이의 뜻이므로 곳게는 꼬챙이가 있는 게로 해석된다. 실제 꽃게의 등딱지 양쪽 끝에는 꼬챙이처럼 뾰족한 뿔이 나 있어 이름 그대로이다. 18세기의 <성호사설>에도 이와 비슷한 설명이 나오는 것을 보면, 당시만 해도 우리 선조들은 곳게의 유래를 분명하게 잘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곳게의 곶을 반도처럼 바다로 가늘게 뻗은 육지로 보고, 꽃게의 등딱지 양쪽에 가시처럼 뾰족하게 튀어나온 부분이 '곶'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으로 설명하기도 하는데, 이는 완전히 틀린 설명은 아니더라도 정확한 설명이라고는 할 수 없다.
17세기의 곳게는 19세기에 와서 제1음절의 어두음이 된소리로 변하여 '꼿게(ㅅㄱ)'가 된다. '꼿게'에 '화해(花蟹)'라는 한자어가 대응되어 있는 것을 보면, 이즈음에서 꽃과 관련된 엉뚱한 어원설이 나오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말하자면 '꼿'에 대한 어원 정보를 잃은 뒤에 어형이 똑같은 화(花)의 꼿에 이끌려 삶으면 꽃처럼 붉으 게라는 엉뚱한 어원설이 나온 것으로 추정한다. 꼿게는 꽃게로, 꼿은 꽃으로 변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집사람이 둘째를 가졌을 때의 일이다. '게'는 먹기 쉽지 않아 입도, 손도 대지 않던 음식이었는데 둘째를 가지고부터는 '게장, 게장'하며 노래를 불렀다. 짧조름하고 알싸한 맛에 바다향이 묻어난다고 그리도 좋아했다. 바로 어제 즐겨먹던 게장집, 꽃게집을 지나쳐 집으로 가는데 그곳에 엉뚱맞게 '훠궈집, 마라탕집'이 떡하니 자리를 잡고 있다. 모든 게 변한다지만 입맛도 추억도 너무 빨리 변하는 것 같아 씁쓸하다.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넙치의 어원 : 넓적한 물고기 (0) | 2023.08.15 |
---|---|
나방의 어원 (0) | 2023.08.14 |
기러기의 어원 : 그럭 그럭 우는 새 (0) | 2023.08.12 |
과메기의 어원 : 관목에서 과메기로 (0) | 2023.08.12 |
고슴도치의 어원 : 가시와 같은 털이 있는 돼지 (0) | 2023.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