ㄷ 받침(종성, 말음) 바뀜 쓰기
'ㄷ'과 'ㅅ'이 받침 발음에서는 [ㄷ]으로 중화되어 구별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표기에 있어서는 구별하여 적는다. 구별하는 조건은 두 가지로써 'ㄷ' 소리가 나는 받침 중에서,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은 그냥 'ㅅ'으로 적는다. 그러나 다음 두 조건은 받침을 'ㄷ'으로 적어야 할 근거가 있다.
(ㄱ) 어원적으로 본디 'ㄷ' 받침을 가지고 있는 것 : 걷다, 듣다
(ㄴ) 문법적으로 설명이 가능한 것. '섣(<=설)- 부르다, 이튿(<=이틀)-날, 숟(<=술)-가락' 등과 같이 받침 'ㄹ'이
합성어에서 'ㄷ'으로 발음되는 것
'돗자리, 무릇' 등의 'ㅅ'은 어원적으로나 문법적으로나 'ㄷ'과 아무런 연관이 없으므로 'ㄷ'으로 적을 수 없어서 'ㅅ'으로 적는다. 'ㅅ'으로 써왔던 종래의 관습, 즉 표기의 역사성에 따르기 때문이다. 문자는 보수성이 강해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종래의 표기 형식을 쉽게 바꾸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덧-, 웃-, 엇-, 핫-'은 접두사로 뒷말과 붙여 쓰고, '뭇, 옛, 첫, 헛'은 관형사로 뒷말과 띄어 쓴다.
'ㄷ'으로 적을 말은 어원적으로 본디 'ㄷ' 받침을 가지고 있는 것이든지 (돋보기), 받침 'ㄹ'이 합성어에서 'ㄷ'으로 발음되는 것과 같이 문법적으로 설명이 가능한 것(섣 <= 설)- 부르다, 잗(<= 잘)-다랗다)이어야 한다. '숟가락'의 숟은 밥 한 술에서 쓰이는 단위성 명사 술과 연관이 있으므로 숟 <= 술-가락이 된다. 'ㄷ'으로 적을 근거가 있지만 '젓가락'이 한자어 '저(箸 : 젓가락 저)와 우리말 가락이 사이시옷으로 결합한 '저 + ㅅ + 가락'의 구성을 이룬다고 볼 수도 있기 때문에 'ㅅ'으로 적는다. 'ㅅ' 받침과 관련된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갓난애, 갓 스물, 걸핏하면, 그까짓, 기껏, 놋그릇, 덧셈, 빗장, 삿대, 숫접다, 젓가락, 짓밟다, 풋고추, 햇곡식
돋보기 안경을 썼다.
섣부른 방송 사업
숟가락과 젓가락을 산다.
어간의 끝이 'ㄷ'이 'ㄹ'로 바뀌는 경우를 거꾸로 생각하면 'ㄹ'은 'ㄷ'으로 적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위의 문제 새로 산 반짇고리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에서 반짓고리가 아니라 반짇고리로 적어야 한다.
(ㄱ) 걷-다, 걷-고, 걸으니, 걸어서, 걸었다.
(ㄴ) 섣달(설달), 이튿날(이틀날), 잗주름(잘주름)
결국 'ㄷ'과 'ㄹ'은 서로 넘나드는 현상이 있다. (ㄱ) 'ㄷ' 불규칙 용언에서 'ㄹ'로 변한 'ㄷ'은 'ㄹ'로 적는다. (ㄴ)처럼 'ㄷ'으로 변한 'ㄹ'은 'ㄷ'으로 적는다. 여기에 1933년 맞춤법 통일안 이후 'ㄷ'으로 적어오는 표기의 역사성도 존중한다.
(나흘날 > 나흗날), (잘갈다 > 잗갈다), (잘갈리다 > 잗갈리다),
(잘널다 > 잗널다), (잘달다 > 잗달다), (잘타다 > 잗타다)
받침 'ㄷ, ㅅ, ㅈ, ㅊ, ㅌ' 따위가 [ㄷ]으로 발음되기 때문에 표기에서 혼란스러우나 뜻을 밝혀 적어야 하므로 원형을 밝혀 적어야 한다. '갇히다'는 '가두다'의 피동형이고 '부딪히다'는 '부딪다'의 피동형이다.
그러므로 (1) "느닷없이 들이닥친 손님들에게 갇혔다."가 올바른 표기이다.
날짜 말을 쓸 때 받침을 구별하여 적는다.
(ㄱ) ㄹ > ㄷ 변한 말 : 며칟날, 이튿날, 사흗날, 삼짇날, 나흗날, 섣달,
(ㄴ) 사이시옷이 쓰인 말 : 초하룻날, 닷샛날, 엿샛날, 이렛날, 여드렛날, 아흐렛날
(ㄷ) 그 외의 말 : 초열흘날, 스무날, 그믐날
그러므로 초하룻날, 초사흗날, 며칠날이 올바른 표기이다.
의미를 알 수 있는 낱말은 그 형태를 밝혀 적는다. (4)의 밭은 바깥과의 연관성이 인식되기 때문에 항상 형태를 밝혀 적는 것이 올바르다. 그와 같은 예로 밭벽, 밭부모, 밭상제, 밭어버이, 밭쪽 등이 있다. (3) '겉'은 '겉보리'처럼 바깥 부분의 뜻이 분명한 경우나 '겉절이, 겉대중, 겉멋, 겉치레, 겉돌다, 겉밤 따위와 같이 "겉으로만 대강"의 뜻인 경우 모두 '겉'으로 형태를 밝혀 적어야 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한낱 작은 파리처럼 작은 미물에 불과하다, 머리숱이 많다, 겉보리 서 말을 샀다, 밭사돈이 안사돈보다 어렵다가 올바른 표기이다.
고삿 : 초가지붕을 일 때 쓴 새끼.
고샅 : 시골 마을의 좁은 골목길. 또는 골목 사이(고샅길), 좁은 골짜기의 사이(깊은 고샅). '사타구니'를 비유적
으로 이르는 말(고샅에서 뭔가 찌르는 듯한 통증을 느낀다)
그러므로 "마을 안 고샅을 돌아다녔다."가 올바른 표기이다.
(1)의 '-곧'은 앞말을 강조하는 보조사로 붙여 쓰는데, 주로 어떤 일이 있을 때마다 반드시 그러함을 뜻한다. '바로, 즉시'를 의미할 때는 부사로 띄어쓴다(가는 대로 곧 연락해라). '곳'은 처소를 의미하는 명사다(사는 곳이 어디냐?).
(2)의 '줄곧'은 '내내'와 같은 의미이고, '벋나다, 벋나가다'는 일정한 한계 밖으로 벗어져 나가거나 비뚜로 나가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저 새는 밤곧 되면 운다, 말이 줄곧 벋나간다."가 올바른 표기이다.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팥_어원 자료 : 콩을 닮은 모양 팥을 닮은 색깔 (2) | 2024.02.12 |
---|---|
염병할_어원 자료 : 전염병에 대한 공포와 혐오 (0) | 2024.02.12 |
우레_어원 자료 : 하늘이 우는 소리가 바로 우레다 (1) | 2024.02.12 |
까치설_어원 자료 (1) | 2024.02.12 |
쓰르라미_어원 자료 : 쓰를 쓰를 우는 매미 (2) | 202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