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예 vs 옛_쓰임새

by 61녹산 2024. 1. 24.
반응형

 

예는 명사 vs 옛은 관형사

 

 

 

한국을 빛낸 위인들을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이순신, 장보고, 세종대왕 등 예나 지금이나 옛사람들의 노력 덕분에 우리가 잘 살고 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습니다. 흔히 예와 옛을 혼동해서 잘못 쓰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예는 주로 에나, 예로부터의 꼴로 쓰이는 명사로 아주 먼 과거를 뜻하는 말이고, 옛은 관형사로 지나간 때를 뜻하는 말이다. 

 

예부터와 옛부터. 말과 글을 통해 함부로 뒤섞어서 쓰이고 있는 말인데, 맞는 말은 예부터이다. 그 이유는 예는 명사, 옛은 관형사이기 때문이다. 관형사는 뒤의 말을 꾸미는 일을 하기 때문에 그 뒤에 부터라는 조사가 올 수 없다. 즉 명사 다음에는 조사가 오는 것이 자연스럽지만 관형사 다음에 조사가 올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예부터가 어색하면 예로부터로 써도 무방하다.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말 표현 중에 ‘-스럽다’라는 접사가 있는데, 일부 명사 뒤에 붙어서 그러한 성질이 있다는 뜻을 더하면서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죠. ‘사랑스럽다, 사치스럽다, 자연스럽다’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스럽다’가 들어가는 표현 중에서 잘못 사용하기 쉬운 ‘예스럽다’와 ‘옛스럽다’에 대해서 설명해 보자.

‘옛것과 같은 맛이나 멋이 있다’는 뜻을 가진 표현으로 ‘예스럽다’와 ‘옛스럽다’ 중에서 어느 것이 맞는다고 생각하십니까? 이 두 표현을 모두 많이 쓰고 있기 때문에 혼동되지도 모르겠지만, ‘예스럽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스럽다’ 앞에 붙은 ‘예’와 ‘옛’의 정확한 차이를 알게 되면 더 쉽게 이해가 된다. 우선 ‘예’라는 말은 ‘아주 먼 과거’라는 뜻의 명사로, ‘예나 지금이나’ 또는 ‘예로부터’와 같은 형태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그런 반면에 ‘옛’이라는 말은 ‘지나간 때의’라는 뜻의 관형사로, ‘옛 추억’이라든지 ‘옛 친구’, ‘옛 모습’ 같은 표현으로 많이 쓰이고 있고, 뒤에 오는 명사와는 띄어서 쓰도록 돼 있지요.

그런데 ‘-스럽다’라는 말은 접미사이기 때문에 그 앞에 관형사인 ‘옛’은 쓸 수가 없고 명사인 ‘예’를 쓸 수 있는 것입니다. 이제 ‘예스럽다’가 올바른 표현인 이유가 된다. 

 

"오랫만에 고향 사람을 만나자 너무 반가웠다."
"어제는 오랫만에 만난 친구들과 늦게까지 놀았다."

이전에도 여러 번 나왔지만 우리말에는 발음이 똑같거나 비슷하여 어떤 표기가 맞는지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위의 예문에 보이는 '오랫만'과 '오랜만'도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단어 중에 하나이다. 위의 예문에서는 모두 '오랜만에'로 쓰는 것이 맞다. '오랜만에'를 '오랫동안'의 형태에 이끌려 '오랫만에'라고 쓰는 경우가 많으나 '오랜만에'가 맞다.

'오랜만에'는 명사 '오랜만'에 조사 '에'가 결합한 형태이다. '오랜만'은 '어떤 일이 있는 때로부터 긴 시간이 지난 뒤'를 의미하는 명사이다. '오랫동안'이 '오래'와 '동안' 사이에 사이시옷이 들어간 것처럼 '오랜만'도 '오래'와 '만' 사이에 사이시옷이 들어간 합성어로 생각하여 '오랫만'으로 쓰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오랜만'은 '오래'와 '만'이 결합한 것이 아니라, '오래간만'의 준말로 '오래간만'에서 '가'가 줄어든 형태이다. 그래서 'ㄴ' 받침의 '오랜만'으로 쓰는 것이다.

한편 '오랫동안'은 부사 '오래'와 명사 '동안'이 결합한 합성어로 가운데 사이시옷이 들어간 것이다. '오랫동안'은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똥안]과 같이 된소리로 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조건에 들어맞음에 따라 '오랫동안'과 같이 사이시옷을 쓰는 것이다.

'오랫동안'은 '시간상으로 썩 긴 기간 동안.'의 뜻으로 "나는 오랫동안 망설인 끝에 드디어 결심했다."나 "그는 선생님을 오랫동안 혼자 좋아해 왔었다."와 같이 쓰인다.

 

 

오랜만에 오랫동안

 

 

 


글로 밥 벌어먹고 사는 사람들도 띄어쓰기와 사이시옷이 헷갈린다면서,글을 쓸 때마다 '하룻만에'인지 '하루만에'인지,아니면 '하루 만에'인지 물어보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대로 알면 헷갈릴 게 있겠는가?

이 말은 '하루,만,에'로 이뤄져 있다. 이 가운데 조사 '에'는 어려울 게 없다. 그러니 핵심은 '만'이 어떤 성격이냐 하는 것이다. 사전을 찾아보자. '(주로 '만에','만이다' 꼴로 쓰여)동안이 얼마간 계속되었음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풀이돼 있다. 게다가 정보가 하나 더 있다. '만'의 품사가 '의존명사'란다. 그런데 사실은,이게 핵심 정보다. 의존명사라면 문제는 거의 해결됐다. 의존명사는 앞의 말과 띄어 써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하루 만에'가 정답이 된다. 물론 '하루'와 '만'이 결합한 합성어가 아니므로 합성어에만 붙는 사이시옷을 쓸 이유도 전혀 없다. '하룻만에'가 될 까닭이 도대체 없다는 말이다. 알고 나면,이렇게 쉽다.

그렇다면 '오랜 만'과 '오랜만','오랫만' 가운데 어느 것이 맞는 표기일까. 이것 역시 어중간하게 알면 헷갈릴 수밖에 없다. 사실 여기에 나오는 '만'은 의존명사가 아니다. 그래서 '오랫만'으로 붙여 써야 할 것 같지만 그것도 아니다. '오래간만'이 줄어든 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랜만'으로 쓴다. '간'의 '가'가 탈락하고 'ㄴ'만 남아 '오래+ㄴ+만'의 꼴이 된 것이다.

그러면 '오래 동안'과 '오랫동안'은 어느 것이 옳을까. 이건,'오래'와 '동안'이 독립된 단어이고 이 두 단어가 합성됐으며 [오래똥안]이나 [오똥안]으로 소리 나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오랫동안'이 정답이다. '오랜'을 쓰고 싶다면 '오랜 동안'으로 띄어서 써야 한다.

 

우리말 표현 중에 ‘-스럽다’라는 접사가 있는데, 일부 명사 뒤에 붙어서 그러한 성질이 있다는 뜻을 더하면서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죠. ‘사랑스럽다, 사치스럽다, 자연스럽다’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겠는데요, 오늘은 ‘-스럽다’가 들어가는 표현 중에서 잘못 사용하기 쉬운 ‘예스럽다’와 ‘옛스럽다’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은 ‘옛것과 같은 맛이나 멋이 있다’는 뜻을 가진 표현으로 ‘예스럽다’와 ‘옛스럽다’ 중에서 어느 것이 맞는다고 생각하시는지요. 이 두 표현을 모두 많이 쓰고 있기 때문에 혼동되실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예스럽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스럽다’ 앞에 붙은 ‘예’와 ‘옛’의 정확한 차이를 보시면 더 쉽게 이해되실 겁니다. 우선 ‘예’라는 말은 ‘아주 먼 과거’라는 뜻의 명사로, ‘예나 지금이나’ 또는 ‘예로부터’와 같은 형태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그런 반면에 ‘옛’이라는 말은 ‘지나간 때의’라는 뜻의 관형사로, ‘옛 추억’이라든지 ‘옛 친구’, ‘옛 모습’ 같은 표현으로 많이 쓰이고 있고, 뒤에 오는 명사와는 띄어서 쓰도록 돼 있지요.

그런데 ‘-스럽다’라는 말은 접미사이기 때문에 그 앞에 관형사인 ‘옛’은 쓸 수가 없고 명사인 ‘예’를 쓸 수 있는 것입니다. 이제 ‘예스럽다’가 올바른 표현인 이유를 잘 아셨겠지요?

반응형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질나다_어원자료  (2) 2024.01.24
된소리 표기 주의 단어_강소주  (1) 2024.01.24
눈[眼] 어휘자료  (1) 2024.01.24
본새의 어원자료  (1) 2024.01.24
Buzzer의 올바른 외래어 표기법_버저  (1) 2024.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