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 이 소설엔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고민/고뇌/번민]하는 지식인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2. 그 여자는 이런저런 [고민/고뇌/번민]들을 잊으려고 술과 노름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3. 가족 문제나 개인적인 [고민/고뇌/번민] 등 신상 문제를 상담 해 주는 곳이 요즘 많이 생기고 있다.
<어휘>
고민(苦悶) : 마음속으로 괴로워하고 애를 태움.
이미 눈 밖에 난 터였다. 한 달여의 고민 끝에 마침내 나는 결단을 내렸다.
당시의 시대적인 고민들이 오늘날에도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책문의 질문과 대책들은 우리 사회의 시급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교훈이 되는 부분이 많다.
선생님! 전 요즘 고민거리가 너무 많아요!
혹한지대에서 활동하는 연구원들이 털어놓은 고민과 애로 사항을 3회에 걸쳐 짚어 본다.
고뇌(苦惱) : 괴로워하고 번뇌함.
사람에게는 육체적인 고통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인 고뇌도 있다.
스무 권의 일기장엔 아버님의 인품과 철학, 생의 고뇌가 그대로 담겨 있는 듯했다.
고뇌 없는 행동은 없다. 따라서 행동은 고뇌가 겉으로 나타난 것일 뿐이다.
전국 방방곡곡의 선인을 찾아가 보기도 하였으나 그의 고뇌를 해결할 수 없었다.
번민(煩悶) : 마음이 번거롭고 답답하여 괴로워함. 괴로움, 괴로워함을 순화
그는 더 좋은 세상을 가꾸어 나가기 위해 날마다 번민하고 노력하는 정치인이다.
그녀는 근심과 번민 속에서 만년(晩年)을 살다가 죽었다.
예술가의 번민과 고뇌의 흔적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조용히 흐르는 개울물 소리가 이런저런 번민들을 씻어 주는 밤이었다.
<해설>
고(苦)는 괴로워할 고
민(悶)는 번민할 민
뇌(惱)는 괴로워할 뇌
번(煩)는 괴로워할 번
고민, 고뇌, 번민 모두 마음 속으로 괴로워 한다는 뜻이다. 고민의 대상은 고뇌와 견주어 볼 때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문제들이다. 어려운 시험을 앞두고 있거나 애인과의 관계가 나빠지는 것 등 사적인 것들이다. 고뇌의 대상은 인생이란 무엇인가, 선과 악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신은 과연 존재하는가 등 고민의 대상보다 더 근원적이고 추상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번민의 대상은 고민의 그것과 비슷하다.
<훈민정음 사전>에서는
지금 외출해야 하는데 입을 옷이 없어 고민이다.
그는 방황과 번민으로 젊은 시절을 보냈다.
이 시는 인간의 실존적 고뇌를 서정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위 문장들을 예로 들어 고민, 번민, 고뇌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모두 마음의 괴로움을 겪고 있는 상태를 가리키나, 고민은 구체적이고 특정한 문제에 대해서 애를 태우는 것을 가리키고, 번민은 이런저런 삶의 문제를 풀지 못하여 답답해하며 괴로워하는 것을 가리키며, 고뇌는 삶의 근원적인 문제에 대해 깊은 성찰과 철학적인 의식을 가지고 해결하려고 애를 쓰는 것을 가리킨다.
<정답>
1. 이 소설엔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고민/고뇌/번민]하는 지식인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2. 그 여자는 이런저런 [고민/고뇌/번민]들을 잊으려고 술과 노름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3. 가족 문제나 개인적인 [고민/고뇌/번민] 등 신상 문제를 상담 해 주는 곳이 요즘 많이 생기고 있다.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추위, 강샘, 강다짐, 깡장에서 강과 깡_쓰임새 (0) | 2024.01.22 |
---|---|
가능성 vs 개연성 vs 확률 vs 공산_쓰임새 (1) | 2024.01.22 |
계속 vs 지속 vs 유지 vs 연속_쓰임새 (0) | 2024.01.22 |
계기 vs 전기_쓰임새 (0) | 2024.01.22 |
경험 vs 체험_쓰임새 (0) | 2024.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