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계속 vs 지속 vs 유지 vs 연속_쓰임새

by 61녹산 2024. 1. 22.
반응형

<문제>

1. 그는 [계속/지속/유지/연속]해서 세 번이나 1등을 했다.

2. 사치(奢侈)가 잠깐의 기쁨과 위안을 주지만 행복을 [계속/지속/유지/연속] 시킬 수는 없다.

3. 권력을 [계속/지속/유지/연속] 하고자 하는 군주는 필요하뎜 부도덕하게 행동할 수도 있어야 한다.

4. 민중은 정부 시책에 대한 항쟁을 끈질기게 [계속/지속/유지/연속] 했다.

 

 

<어휘>

계속(繼續)

1. 끊이지 않고 이어 나감

2. 끊어졌던 행위나 상태를 다시 이어 나감

3. 끊이지 않고 잇따라

 

 

 

계속

 

 

 

오랫동안 계속되는 가뭄으로 논밭이 메말라 거북 등처럼 갈라졌다.

장난감이나 과자를 사 주지 않는다고 아이가 계속 칭얼댈 때는 이렇게 하시오.

생업에 지장을 줄 만큼 남의 차를 계속 빌려 써서 어떡하겠다는 거야?

역사는 우리에게 지난 수십 년간 기술의 변화가 우리가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산업을 키우고 부수고 변화시켜 왔다는 것을 가르친다. 앞으로도 보이지 않는 엔진의 이러한 작업은 쉬지 않고 계속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우리의 사업과 개인적 삶과 함께할 것이다. 

 

 

지속(持續) : 어떤 상태가 오래 계속됨. 또는 어떤 상태를 오래 계속함.

 

 

 

지속

 

 

 

사람을 조그만 사귀어 보아도 금세 깨닫는 것이지만, 외모가 예쁜 것보다는 마음이 고운 것이 오래도록 좋은 관계를 지속하는 일차적 조건이다. 

인간의 평균 수명이 길어져 세계 인구의 증가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소신을 내세우고 지키며 관리할 줄 알기 위해서는 현실에 대한 성실한 관찰, 치말한 사고, 다른 사람과의 지속적인 대화, 포용적인 세계관을 가져야 한다.

고통받는 자는 구원을 갈구한다. 언젠가 고통에서 벗어나리라는 것을 희망한다. 고통은 역설적으로 희망의 동기다. 그렇기 때문에 고통이 없을 수 없는 세상에서도 삶은 지속되는지 모른다. 고통을 없앨 수는 없지만 고통을 줄이며 살아갈 수 있다는 희망이 우리의 삶을 지탱해 주는지도 모른다.

 

 

유지(維持) : 어떤 상태나 상황을 그대로 보존하거나 변함없이 계속하여 지탱함.

 

 

 

유지

 

 

 

수감생활은 인생의 아름다움을 누리지 못하고 산송장처럼 목숨만 유지해야 하는 비참하고 소모적인 생활이다. 

거문고 줄의 팽팽함과 느슨함의 절묘한 조화를 어떻게 발견하고 유지하는 지가 좋은 소리를 내는 관건이다.

미국의 세계 전략은 자국의 패권적 지위를 유지, 강화하기 위해서 한결 강화된 군사주의 노선을 축으로 전개되리라고 전망된다.

강력한 권력자는 권력의 유지를 위해 상벌의 두 수단을 구사한다. 상은 독려하고 유도하고, 벌은 두려움에 떨게 한다. 

 

 

연속(連續) : 끊이지 않고 죽 이어지거나 지속함.

 

 

 

연속동작

 

 

 

내가 무엇을 하든 그 자체가 도(道)의 경지라면 그 삶은 즐거움의 연속일 것이다.

비슷한 사건이 연속적으로 일어났다.

수출이 지난달 14.5% 증가하는 등 두 달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전쟁은 결국 순간과 순간의 연속이다.

 

 

<해설>

계(繼)는 이을 계

지(持) 는 보존할 지

속(續)은 이을 속

유(維)는 밧줄 유, 맬 유

연(連)은 잇닿을 연

 

 

계속(繼續)은 행위나 현상을 끊지 않고 이어 나간다는 점에서는 지속(持續)과 비슷한 말이다. 시위, 노래, 공부, 운동 등 지금 실제로 하는 행동은 '계속'하는 것이다. 계속은 끊이지 않고 이어 나간다는 행위에 초점이 있는 반면, 지속은 어떤 상태나 현상이 오랫동안 계속된다는 시간 기간에 주안점이 있다.

 

계속에는 끊어졌던 행이나 상태를 다시 이어 나간다는 뜻도 있다. 지속과 달리 단속적(斷續的)이라는 얘기다. 단속적이라 함은 끊었다 이었다 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문학 작품이 1권에서 2권으로 넘어갈 때 계속이라고 하지, 지속이라고 하지 않는다. 주말 연속극도 다음 주에 계속이라고 하지, 다음 주에 지속이라 하지 않는다.

 

지속은 단속적인 계속과 달리 끊어짐이 없다. 주로 관계나 행위 등에 쓰여 현재의 상태가 오래 계속되는 것에 초점이 있다. 약효는 지속되는 것이지, 계속되거나 연속되는 것이 아니다. 계속 유지하는 것을 지속이라고 할 수 있다. 연속도 지속, 계속과 마찬가지로 끊어짐은 없다. 끊이지 않고 죽 이어 나간다는 점에서는 계속, 지속과 같은 의미이나 "프로축구 수원 삼성의 신영록은 3경기 연속 골을 넣었다"에서는 연속을 계속이나 지속으로 바꿔 쓸 수 없다. 계속과 지속은 일정한 시간 기간 동안 끊어짐이 없는 것에 비해 축구 경기가 사흘마다 열린다고 하면 그 이어지는 3경기에서 매번 신영록이 골을 넣었음을 가리킨다. 

 

계속, 지속, 연속과 달리 유지는 끊어짐의 유무(有無)보다는 어떤 상태나 상황을 그대로 보존하거나 변함없이 쭉 지탱하는 데 초점이 있다. 권력, 신분, 직위, 질서, 평화, 건강은 유지하는 것이고 이 유지에는 무엇보다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현상이나 상태는 유지되기도 하고 지속되기도 한다.

 

 

<정답>

1. 그는 [계속/지속/유지/연속]해서 세 번이나 1등을 했다.

2. 사치(奢侈)가 잠깐의 기쁨과 위안을 주지만 행복을 [계속/지속/유지/연속] 시킬 수는 없다.

3. 권력을 [계속/지속/유지/연속] 하고자 하는 군주는 필요하뎜 부도덕하게 행동할 수도 있어야 한다.

4. 민중은 정부 시책에 대한 항쟁을 끈질기게 [계속/지속/유지/연속] 했다.

반응형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능성 vs 개연성 vs 확률 vs 공산_쓰임새  (1) 2024.01.22
고민 vs 고뇌 vs 번민_쓰임새  (0) 2024.01.22
계기 vs 전기_쓰임새  (0) 2024.01.22
경험 vs 체험_쓰임새  (0) 2024.01.22
겸손 vs 겸허_쓰임새  (1) 2024.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