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성은 무엇이며 나이는 몇 살이뇨?"
"성은 성(成) 가이옵고 연세는 십육 세로소이다."
"허허 그 말 반갑도다. 네 연세 들어 보니 나와 동갑 이팔이라."
춘향전의 한 대목이다. 여기에 나오는 '이팔'은 '이팔청춘(二八靑春)'과 같은 말로 16세를 일컫는 말이다. 이몽룡과 성춘향이 만나 사랑을 나눈 때가 16세니 여간 파격적인 애정행각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이팔'이 어떻게 16을 가리키는 말이 됐을까?
옛날에는 지금보다 훨신 이른 나이에 결혼하던 풍습이 있었음이 우리말 속에서도 엿보인다. '과년한 딸'이라고 하면 '나이가 보통의 혼기를 지난 딸'을 가리킨다. 한자로는 과년(過年)이다. 그런데 또 다른 의미의 과년(瓜年)도 있다. 이때 과년(瓜年)은 '여자가 혼기에 이른 나이'를 나타내며, 이것이 바로 16세를 가리킨다. 옛날에는 이 시기가 결혼 적령기였던 셈이다. 과년(瓜年)은 '파과지년(破瓜之年)'에서 온 말로 '오이 과(瓜)'를 파자하면 '팔(八)'이 두 개 나오는데 여기서 '이팔'과 함께 16세란 의미가 만들어졌다.
우리말에는 이 같은 방식으로 나이나 때를 나타내는 별칭들이 많이 존재한다. 사십구재(四十九齋)를 七七齋라고 하고, 아이가 태어난 날부터 21일째 되는 날을 '세이레'라고 했다. 세이레는 '세(3) + 이레(7)'의합성어인데 이를 '삼칠일'이라고도 한다.
이몽룡이 이팔청춘을 즐긴 한량이었다면 공자는 15세에 학문에 뜻을 두어 지우학(志學)이라고 했다. 이어 30에 이립(而立 뜻을 세우다) 하고, 40에 불혹(不惑 혹됨이 없다) 하며, 50에 지천명(知天命 하늘이 내린 운명을 알게 된다), 60에 이순(耳順 귀에 들리는 소리가 칭찬밖에는 없다), 70에 종심(從心 마음가는대로 행해도 거스름이 없다)에 이르렀다고 했다.
이 밖에도 나이를 가리키는 말로는 약관, 방년, 고희, 희수(77세), 산수, 미수(88세), 백수(99세) 등이 있다. 약관(弱冠)은 <예기(禮記)>에서 나온 말로, 사람이 태어나서 20세가 되면 약(弱)이라 하며 비로소 갓을 쓴다는 데서 유래했다. 두보의 시 '곡강(曲江)'의 구절 "人生七十古來稀(사람이 태어나 70세가 되기는 예로부터 드물다)"에서 유래한 '고희(古稀 70세)'도 알아둬야 한다. 77세는 희수(喜壽 늙어감이 기쁘다), 80세는 산수(傘壽), 88세는 미수(米壽)이다. 99세는 백수(白壽 100을 바로 보는 나이)라 한다. 또 하늘이 준 인생을 모두 살았다고 하여 '천수(天壽)'를 다했다고 하며,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란 뜻인 '향년(享年)'은 '죽인 이의 나이'를 뜻한다.
충년(沖年) : 열 살 안팎의 어린 나이
약관(弱冠) : 남자의 스무 살 또는 스무 살 전후를 이르는 말
망오(望五) : 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하나를 이르는 말
망륙(望六) : 사람의 나이가 예순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쉰한 살을 뜻함
환갑(還甲) : 육십갑자의 갑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61세)'
진갑(進甲) : 환갑의 이듬해인 '예순두 살(62)'
팔순(八旬) : 여든 살(80세)
망구(望九) : 아흔을 바라본다는 뜻에서 81세를 뜻함. 할망구로 변천함.
망백(望百) : 91세가 되면 백 살까지 살 것을 바라본다는 뜻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뜻 모르고 쓰면 민망해지는 말들 - 엘레지, 미주알, 고주리 (0) | 2023.09.15 |
---|---|
구별해서 사용해야 할 어휘 - 푸드득 vs 푸드덕 (0) | 2023.09.14 |
겻불의 어휘자료 (0) | 2023.09.14 |
긴가민가 : 이건지 저건지 분간이 가지 않을 때 (0) | 2023.09.14 |
<용의자, 피의자, 혐의자> 쓰임새 (0) | 2023.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