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하인리이 법칙 : 1대 29대 300 법칙

by 61녹산 2023. 8. 18.
반응형
하인리히의 법칙
하인리히의 법칙

 

하인리이 법칙 : 1대 29대 300 법칙

 

1931년 허버트 윌리엄 하인리히(Herbert William Heinrich)가 펴낸 <산업 재해 예방 : 과학적 접근(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 A Scientific Approach)>이라는 책에서 소개된 법칙이다. 이 책이 출간되었을 당시 하인리히는 미국의 트래블러스 보험사(Travelers Insurance Company)라는 회사의 엔지니어링 및 손실 통제 부서에 근무하고 있었다. 

 

업무 성격상 수많은 사고 통계를 접했던 하인리히는 산업 재해 사례 분석을 통해 하나의 통계적 법칙을 발견했다. 그것은 바로 산업 재해가 발생하여 중상자가 1명 나오면 그전에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 경상자가 29명, 같은 원인으로 부상을 당할 뻔한 잠재적 부상자가 300명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하인리히 법칙은 1:29:300 법칙이라고도 부른다. 즉, 큰 재해와 작은 재해 그리고 사소한 사고의 발생 비율이 1:29:300이라는 것이다.

 

큰 사고는 우연히 또는 어는 순간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전에 반드시 경미한 사고들이 반복되는 과정 속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힌 것으로 큰 사고가 일어나기 전 일정 기간 동안 여러 번의 경고성 징후와 전조들이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다시 말하면 큰 재해는 항상 사소한 것들을 방치할 때 발생한다는 것이다. 

 

사소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면밀히 살펴 그 원인을 파악하고 잘못된 점을 시정하면 대형 사고나 실패를 방지할 수 있지만, 징후가 있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방치하면 돌이킬 수 없는 대형 사고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 하인리히 법칙은 노동 현장에서의 재해뿐만 아니라 각종 사고나 재난, 또는 사회적 경제적 개인적 위기나 실패와 관련된 법칙으로 확장되고 해석되고 있다. 

 

사고방지 5단계

하인리히는 작은 사고가 큰 재해로 번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5단계 방법에 대해서 제시했는데 안전관리자로 일하려는 분들은 꼭 숙지할 필요가 있다.

 

1단계 안전조직

  1. 안전목표 설정 : 큰 목표와 함께 세부적인 목표를 정하는 것도 좋다.
  2. 안전관리자 선임 : 안전 관리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지도하는 사람
  3. 안전조직 구성 : 법적으로 규모에 따른 인원이 정해져 있다.
  4. 이외 안전 활동 방침 및 계획 수립, 조직을 통한 안전 활동 전개

2단계 사실의 발견

  1. 작업분석 : 공정을 구성하는 개별의 작업 방법을 분석하는 행위
  2. 점검 : 안전성 확보를 위해 육안, 장비를 활용하여 확인, 측정함
  3. 사고조사 : 육하원칙에 따라서 사고 내용을 조사하고 정리
  4. 안전진단 :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3단계 분석

  1. 사고 원인 및 경향성(특정 감정이나 욕망을 불러오는 성향) 분석
  2. 작업공정 분석 : 근본적 원인이 될만한 공정을 조사하는 행위
  3. 사고기록 및 관계 자료 분석 : 통계를 내면 좋은 자료가 된다.
  4. 인적, 물적 환경 조건 분석 : 사람, 환경에 따른 변화를 확인

4단계 시정방법 선정

  1. 기술적 개선 : 추가적인 기능을 만드는 등 안전성을 개선한다.
  2. 안전 운동 전개 : 안전을 지키기 위한 구호나 SOP를 시작함
  3. 교육훈련 분석 : 직원들에게 안전 교육을 하고 변화를 살펴봄
  4. 안전행정의 개선 : 불합리하거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개선한다.
  5. 배치 조정 : 능률을 향상시키고 안전을 위해 근무 환경을 변경
  6. 규칙 및 수칙 등 제도의 개선

5단계 시정책 적용 (3E)

  1. 안전교육(Education)
  2. 안전기술(Engineering)
  3. 안전독려(Enforcemen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