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미꾸라지의 어원 자료 : 미끄러운 작은 것

by 61녹산 2023. 8. 15.
반응형

미꾸라지
미꾸라지

 

 

미꾸라지는 한자어로는 추(鰌), 추(鰍)라고 한다. 학명은 Misgurnus mizolepis GNTHER이다. 미꾸리라고도 부르나 이는 별종이다. 몸은 길고 가늘며 측편(側扁)하다. 입은 작고 배쪽에 붙어 있으며 입가에 5쌍의 수염이 있다. 비늘은 대부분이 살갗 속에 묻혀 있고 머리에는 비늘이 없다. 꼬리지느러미는 후연(後緣)이 둥글다. 몸빛은 등쪽이 암감람색이고 배쪽이 담황색이다. 머리와 배쪽을 제외한 몸에는 선명치 않은 작은 흑점이 분포되어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담흑색의 선상(線狀) 반문이 있다. 몸길이는 약 20㎝ 정도이다. 우리 나라 서부·남부 지방의 하천·호소(湖沼)를 중심으로 하여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주로 연못가나 논두렁, 도랑 및 수로 등에 사는데 진흙이 깔린 얕은 물의 흐름이 없는 곳에서 산다. 흐르는 물에는 아주 적다. 바닥에 붙은 말이나 유기물을 진흙과 함께 먹는데 몸길이가 8㎝ 내외가 되기까지는 실지렁이 등 소동물도 잡아먹는다. 또, 식물의 눈, 곡류, 해감 등을 먹기도 하며, 산란기는 초여름이다. 장호흡(腸呼吸)을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아가미호흡 이외의 공기호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겨울에는 진흙 속에서 동면한다. 미꾸라지는 내수면의 잡기 쉬운 곳에 서식하고 있으므로 선사시대부터 중요한 식량자원의 구실을 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문헌상으로는 서긍의 ≪고려도경 高麗圖經≫에 등장한다. 여기에는 영세민이 즐겨 먹는 9종의 수산동물이 열거되어 있는데 추도 포함되어 있다. ≪동의보감 東醫寶鑑≫에는 추어(鰍魚)라 하고 한글로 ‘믜꾸리’라고 썼으며, 모양이 단소(短小)하고 항상 진흙 속에 있는데 일명 추어(鰌魚)라고 하며, 또 그 약효는 보중(補中), 지설(止泄)하다고 하였다. ≪난호어목지 蘭湖漁牧志≫에는 이추(泥鰍)라고 하고 한글로 ‘밋구리’라고 쓰고, 이를 설명하여 살은 기름이 많고 살찌고 맛이 있으며 시골사람은 이를 잡아 맑은 물에 넣어두고 진흙을 다 토하기를 기다려 죽을 끓이는데 별미라고 하였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추두부탕이라 하여 특수한 미꾸라지 요리법이 설명되어 있는데, “미꾸라지를 맑은 물에 5, 6일간 넣어두어 진흙을 다 토하게 한 뒤 솥에다 두부 몇 모와 물, 미꾸라지 50∼60마리를 넣고 불을 때면 미꾸라지는 뜨거워서 두부 속으로 기어든다. 더 뜨거워지면 두부의 미꾸라지는 약이 바싹 오르면서 죽어간다. 이것을 썰어서 참기름으로 지져 탕을 끓인다.”고 되어 있다.

한편, ≪해동죽지 海東竹枝≫에는 “서리가 내릴 무렵 두부를 만들어 이것이 미처 응고되기 전에 추어를 넣고 다시 눌러서 굳게 하여 얇게 썰고 생강·천초를 넣고 가루를 섞어 삶는다.”고 쓰여 있다. 요즈음에는 미꾸라지에 솎음배추·부추·고비나물 등 채소를 많이 넣고 끓인 추어탕이 인기이다.

 

이런 미꾸라지가 얼마 전 '미꾸라지'라는 말이, 법망(法網)을 요리조리 잘 피해 나가는 한 고위 인사 때문에 화제가 됐다. 그때 생긴 유행어가 '법꾸라지'다. 그런데 요즘 다시 이 말이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청와대에서 나온 "궁지에 몰린 미꾸라지 한 마리가 개울물을 흐리고 있다."라는 격앙된 말 때문이다. '미꾸라지'라는 말이 '아주 약은 사람'이나 '나쁜 영향을 주는 사람'을 비유할 때 쓰이고 있으니 아무 죄 없는 미꾸라지로서는 무슨 일인가 싶어 입만 뻐끔뻐끔 하며 사람들을 처다볼 것 같다. 

 

'미꾸라지'라는 말은 19세기 문헌에서 '밋그라지'로 등장한다. 이 말이 꼭 19세기에 만들어졌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뒤늦게 출현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 이전 시기에는 '믯그리'라는 단어가 쓰였다. '픳그리'는 동사 '믯글다'의 어간 '믯글-(미끄러지지다)'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어형으로 '미끄러지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미꾸라지의 미끌미끌한 특성에 초점을 둔 조어 형태로 보인다. '믯그리'는 현재 일부 방언에 '미꾸리'로 남아 있다. '미꾸리'를 '밑이 구린 놈, 물에 사는구렁이' 등으로 해석하기도 하고, '미꾸라지'의 준말로 설명하기도 하나 설득력이 부족해 보인다. 

 

'믯그리'에 이어서 나타난 '밋그라지'는 동사 '믯글다'의 어간 '믯글-'에 작은 것을 지시하는 접미사 '-아지'가 직접 결합된 '믜그라지'에서 변형된 어형이거나, 기존의 '믯그리'에 그러한 성격의 접미사 '-아지'가 결합된 '믯그라지'에서 변형된 어형일 터인데, 후자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접미사 '-아지'는 강아지, 망아지, 송아지 등에 보이는 그것과 같이 작은 것을 지시한다. 믯그리가 있는데도 이것에 다시 접미사 '-아지'를 덧붙여 '믯그라지'라는 새로운 단어를 만든 것은 미꾸라지의 둥글고 작은 몸체가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미꾸라지 vs 미꾸리
미꾸라지 vs 미꾸리

 

 

'믯그라지'는 '밋구라지'를 거쳐 미꾸라지로 자리잡은 것으로 보인다. (믯그라지 > 밋구라지 > 미꾸라지) 밋그라지가 나타나 세력을 확장하면서 먼저 등장한 '믯그리(마꾸리)'는 세력을 잃고 일부 지역 방언으로 한정되어 사용된 듯 하다. 그런데 방언으로서의 '미꾸리(미꾸라지)'와 이것과 흡사한 모습인, 동일 이름의 표준어 '미꾸리'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이들의 눈의 크기, 입수염의 크기에서 미세한 차이가 있다. 대체로 미꾸리는 미꾸라지보다 몸이 통통하고, 미꾸라지는 미꾸리보다 납작한 모습이다. 그리하여 미꾸리를 동글이, 미꾸라지를 납작이라 구분하는 부른다고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