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줄임말 표기방법 : 만만찮은 VS 만만챦은

by 61녹산 2023. 8. 15.
반응형

주의할 준말 표기법
주의할 준말 표기법

 

 

국어에서 용언 뒤에 오는 어미와 그 어미 뒤에 오는 말이 어울려 줄어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표기가 문제가 된다.

 

(1) ㄱ. 이번 홍수로 적지 않은 피해를 입었다. → 적쟎은 / 적잖은
  ㄴ. 그는 남부럽지 않은 어린 시절을 보냈다. → 남부럽쟎은 / 남부럽잖은
  ㄷ. 그리 달갑지 않은 목소리로 말했다. → 달갑쟎은 / 달갑잖은

 

위 (1)의 예들과 같이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줄어드는 경우는 어떻게 적어야 할까? ‘가지다 + -어 → 가져(가지어)’, ‘다니다 + -어→다녀(다니어)’와 같이 축약을 인정한다면 ‘-지’에 ‘않-’이 어울려 줄어드는 경우도 ‘-쟎-’과 같이 적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는 줄어든 형태가 이미 굳어져서 하나의 낱말로 대접받고 있는 것들이므로 어원을 밝힐 필요가 없이 소리 나는 대로 적고 있는 것들이다. 그러므로 (1)의 밑줄 친 예들은 ‘*적쟎은, *남부럽쟎은, *달갑쟎은’이 아니라 ‘적잖은, 남부럽잖은, 달갑잖은’과 같이 ‘-잖-’으로 적어야 한다.


이와 같이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줄어든 말에는 ‘같잖다, 꼴답잖다, 되잖다, 시답잖다, 어쭙잖다, 오죽잖다, 올곧잖다, 의젓잖다, 점잖다’ 등이 더 있다.

 

(2) ㄱ. 상대팀은 만만치 않은 실력을 지녔다. → 만만챦은 / 만만찮은
  ㄴ. 차린 음식이 변변치 않아 걱정이에요. → 변변챦아 / 변변찮아
  ㄷ. 김 선수는 기술은 좋은데 체력이 시원치 않아. → 시원챦아 / 시원찮아

 

(2)의 밑줄 친 예들은 ‘-하다’ 형용사 어간에 어미 ‘-지’가 연결되어 ‘-치’로 줄어든 형태에 다시 ‘않-’이 어울려 줄어든 것들이다. 이 예들 역시 축약을 인정하여 ‘*만만챦은, *변변챦아, *시원챦아’로 적는 것이 아니라, 줄어든 형태가 하나의 낱말로 인식되고 있어서 어원을 밝혀 줄어진 과정을 보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리 나는 대로 적으면 되는 것들이다. 그러므로 ‘만만찮은, 변변찮아, 시원찮아’와 같이 적어야 한다.


(2)의 예들과 같이 ‘-하지’ 뒤에 ‘않-’이 어울려 줄어든 말에는 ‘가당찮다, 괜찮다, 귀찮다, 당찮다, 대단찮다, 마땅찮다, 수월찮다, 심심찮다, 여의찮다, 우연찮다, 짭짤찮다, 칠칠찮다, 편찮다, 하찮다’ 등이 더 있다.

 

한 가지 묘수를 제시하면 'ㅈ,ㅊ'와 같은 구개음 뒤에 이중모음이 와도 발음은 단모음으로 발음되기 때문에 'ㅈ,ㅊ' 뒤에 이중모음이 오는 경우는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거의 전부 단모음으로 표기하는 것을 명심하면 시험문제에 틀리지는 않을 것이다. 

반응형